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이 몸이 죽어 가서(성삼문) 이 몸이 죽어 가서 원문 이 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꼬 하니 봉래산(蓬萊山) 제일봉에 낙락장송(落落長松) 되어 있어 백설이 만건곤(滿乾坤)할 제 독야청청(獨也靑靑)하리라 *낙락장송: 낙락(落落)과 장송(長松)이 합쳐진 말. 굽히지 않은 지사, 곧은 지조의 인품을 가진 사람에 비유하는 말. *낙락(落落): 1) 길고 얇은 것이 끊이지 않고 많은 모양. 2) 고고하고 고상한, 또는 충중하고 뛰어남. 3) 자잘한 일에 구애받지 않음. *장송(長松): - 소나무는 우뚝 높이 솟아 한겨울에도 늘 푸른 모습을 띠는 것에서, 동양문화에서 예부터 굳은 지조와 절개를 상징함. - 부패한 정치권력에 등을 돌리고 부정한 사회를 비판했던 지식인을 비바람에도 꺾이지 않고 가지를 뻗치는 소나무에 비유하기도 함. 핵심 정리 갈래 .. 2020. 12. 19.
제망매가(월명사) 제망매가 원문 生死路隠 此矣有阿米次肹伊遣 吾隐去内如辝叱都 毛如云遣去内尼叱古 於內秋察早隠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一等隠枝良出古 去奴隠處毛冬乎丁 阿也彌陁刹良逢乎吾 道修良待是古如 생사(生死) 길은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 가는 곳 모르온저. 아아, 미타찰(彌陀刹)에서 만날 나 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 작품 핵심 정리 갈래 향가 성격 추모적, 애상적, 종교적 제재 누이의 죽음 주제 누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과 극복 의지 특징 - 불교의 윤회 사상을 바탕으로 재회에 대한 소망을 드러내고 있음. - 빼어난 문학적 비유와 상징을 활용하여 작품의 서정성을 높이고 있음. - 10구체 향가의 정제된 형식미와 고.. 2020. 12. 18.
향가와 시조 향가 (1) 개념 - 신라 때부터 고려 초까지 향유된 노래임. -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국어 어순대로 적은 향찰로 표기됨. - 우리말 어순으로 표기함으로써 주체적으로 외래문화를 수용한 우리 민족의 정신과 정서가 드러남. (2) 형식적 특징 4구체 - 4행으로 된 초기 향가의 형태임. - 민요와 동요가 정착된 것으로 보임. 8구체 - 8행으로 된 형태임. - 10구체로 가는 과정에서 생긴 과도기적 형태로 봄. 10구체 - 10행으로 된 가장 정제된 향가임. - 향가라는 문학 형식이 완성된 형태임. - 3단 구성을 보임. - 낙구 첫머리에 '아아', '아으'와 같은 감탄사가 나타남. (3) 내용 - 임금과 산하의 도리, 추모, 연모 등 다양하나, 유고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것과 주술성을 띠는 것이.. 2020. 12. 17.
한국 문학과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 한국 문학의 전통 - 전통이란 특정 집단에서 형성된 사상이나 관습, 행동 등이 오랜 기간 전승되며 문화 창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함. - 문학적 전통은 앞 시대의 것을 그대로 계승하여 발전하기도 하거나, 시대의 요구에 따라 변형하면서 형성되기도 함. 고전 문학에 반영된 사회, 문화적 가치 (1) 조선 전기 - 유교적 질서를 가치있는 것으로 여기던 시기임. - 유교적 가치를 반영한 작품들이 많이 지어짐. - 임금에 대한 충성이나 부모에 대한 효, 성리학적 세계관이 반영된 작품들이 창작됨. - 강호가도와 같은 자연 친화적, 풍류적 성격을 가진 작품들도 있었음. (2) 조선 후기 - 평민 의식이 성장하면서, 평민층의 생활상이나 가치관을 반영한 작품들이 창작됨. - 탐관오리나 부패한 관리들에 대한 비판과 풍자.. 2020. 12.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