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도산십이곡 (이황) 원문 도산십이곡 이황 언지 :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 이런들 엇더하며 져런들 엇더하료 ↳ 달관적 태도 ↱ 공명과 시비를 떠나 자연을 벗삼아 사는 삶 초야우생(草野愚生)이 이러타 엇더하료 ↳ 어리석은 시골사람(자신을 낮춰서 표현) 하물며 泉石膏肓(천석고황)을 고텨 므슴 하료 ↳ 자연을 몹시 사랑하는 병(연하고질) 언지 : 자연동화와 허물없는 삶의 추구 煙霞(연하)로 집을 삼고 風月(풍월)로 벗을 사마 ↳ 노을 ↳ 바람과 달 = 대유법(연하, 풍월) 태평성대(太平聖代)에 병(病)으로 늘거 가네 ↳ 중의적 표현(① 늙어가는 병, ② 자연을 사랑하는 병) 이 즁에 바라는 일은 허믈이나 업고쟈. 언학 : 옛 성현의 삶을 따르려는 의지 고인(古人)도 날 몯 보고 나도 고인(古人) 몯 뵈 ↳ 학문과 턱이 높은 성현 고.. 2021. 4. 22.
댁들에 동난지 사오 (작자 미상) 원문 댁들에 동난지 사오 작자 미상 댁들에 동난지 사오. 져 쟝스여, 네 황후 긔 무서시라 에는다. 사쟈 댁들이여 게젓 사세요 저 장사야 네 물건 그것은 무엇이라고 외치느냐? 외골내육(外骨內肉), 양목(兩目)이 상천, 전행 후행, 소아리 팔족(八足), 대아리 이족(二足), 청장(淸醬) 아스슥하는 동난지이 사오. 겉은 뼈요, 안은 살이니 두 눈은 하늘을 향하고 앞으로 뒤로 갔다가 작은 다리는 8개에 큰 다리는 2개 연간장 아삭한 게장 사세요 쟝스야, 하 거북이 웨지 말고 게젓이라 하렴은 장수야 거북하게 말하지 말고 게젓이라 해라 갈래 사설시조 성격 비판적, 풍자적, 해학적 주제 현학적인 태도에 대한 풍자 특징 한자어 사용 2021. 4. 22.
청산리 벽계수야 (황진이) 원문 청산리 벽계수야 황진이 ↱ 쉽게(순간적인 인생의 삶 비유) 靑山裏(청산리) 碧溪水(벽계수)ㅣ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 영원한 자연 ↳ 덧없는 인생(흐르는 물, 왕족 벽계수) ↳ 의인법 一到滄海(일도 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오니 ↳ 한번 넓은 바다에 다다르면 ↱ 적막한 산에 가득 참 明月(명월)이 滿空山(만공산)하니 수여간들 엇더리 ↳ 달, 황진이(중의적 표현) ↳ 설의법 갈래 평시조 성격 회유적, 향락적, 연정가, 낭만적 주제 인생의 덧없음과 향락 권유 특징 중의적 표현, 의인화 제재 벽계수, 명월 시기 조선 전기 표현 의인법, 중의법, 설의법, 대조법 2021. 4. 22.
마음이 어린 후이니 (서경덕) 원문 마음이 어린 후이니 서경덕 마음이 어린 후ㅣ니 하난 일이 다 어리다. 마음이 어리석은 후이니 하는 일이 다 어리석다. 萬重雲山(만중 운산)에 어늬님 오리마는, 구름이 겹겹이 쌓인 산에 어느 님이 오겠느냐마는 지는 닢 부난 바람에 행여 긘가 하노라. 떨어지는 잎 불어오는 바람에 혹시 그 사람인가 하노라 성격 감상적, 낭만적, 연정가 주제 임을 기다리는 마음 특징 과장법, 도치법 작가 조선 중기 화가로, 사제지간이었던 황진이를 기다리며 지은 시조임 2021. 4. 22.
대쵸볼 볼근 골에 (황희) 원문 대쵸볼 볼근 골에 황희 대쵸볼 불근 골에 밤은 어디 뜻드르며, ↳ 대추의 봄 ↳ 떨어지며 = 의인법: 대추에 볼(뺨)이 있다고 함 ↱ 논에 사는 게 벼 뷘 그르헤 게는 어이 나리난고, 베어낸 ↲ ↳ 그루터기에 ↳내려오는고 ↱ 지나가니 술 닉쟈 체쟝사 도라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의자 ↲ ↳ 체를 파는 상인 ↳어찌하리 갈래 평시조 성격 풍류적, 전원적, 낭만적 주제 가을에서 느끼는 농촌생활의 풍요로움 특징 - '대추, 밤, 벼, 게, 술, 체장수'의 점층적 시상전개(시상이 전개될 수록 화자의 정서나 주제의식을 고조시키며 전개하는 방식)로 계절적 이미지와 농촌의 풍요로움을 표현함 - 순우리말과 감각적인 표현으로 농촌 풍경을 묘사함 2021. 4. 22.
반중 조홍감이 고아도 (박인로) 원문 반중 조홍감이 고와도 박인로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 고와도 보이나다 ↳ 다른 감보다 일찍 익는 홍시(매우 붉음) 유자(柚子) 아니라도 품엄즉도 하다마는 품어가 반길이 없을새 글로 설워 하노라 ↳ 풍수지탄 갈래 연시조 성격 교훈적, 유교적 주제 돌아가신 부모님을 생각하는 지극한 효심 특징 고사를 인용하여 주제 강조 작품 해설 - 감: 회귤고사와 부모님을 떠올리게 하는 매게체 * 회귤고사: 초청받은 잔치에서 모친이 생각나서 귤을 품어 달아났다는 중국의 고사 2021. 4.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