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제망매가 원문
生死路隠 此矣有阿米次肹伊遣 吾隐去内如辝叱都 毛如云遣去内尼叱古 於內秋察早隠風未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一等隠枝良出古 去奴隠處毛冬乎丁 阿也彌陁刹良逢乎吾 道修良待是古如 |
생사(生死) 길은 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 가는 곳 모르온저. 아아, 미타찰(彌陀刹)에서 만날 나 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 |
작품 핵심 정리
갈래 | 향가 |
성격 | 추모적, 애상적, 종교적 |
제재 | 누이의 죽음 |
주제 | 누이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과 극복 의지 |
특징 | - 불교의 윤회 사상을 바탕으로 재회에 대한 소망을 드러내고 있음. - 빼어난 문학적 비유와 상징을 활용하여 작품의 서정성을 높이고 있음. - 10구체 향가의 정제된 형식미와 고도의 서정성이 두드러짐. |
*윤회 사상: 생명이 있는 것, 즉 중생은 죽어도 다시 태어나 생이 반복된다고 하는 불교사상
작품의 구성
1~4행 | 누이의 죽음을 슬퍼함(화자의 슬픔이 드러남) |
5~8행 | 누이의 죽음에 대한 안타까움과 자연 현상에서 발견한 삶의 무상감(화자의 슬픔이 안타까움과 무상감으로 고조됨) |
9~10행 | 종교를 통해 슬픔을 극복하고, 누이와의 만남을 기약하는 것으로 정서를 승화시키며 시상을 마무리함 |
화자의 태도 변화
1~8행 | 누이의 죽음을 안타까워하고 슬퍼하며, 인생의 무상감을 느낌 |
'아아'로 시상을 전환함 | |
9~10행 | 재회에 대한 믿음으로 슬픔을 극복함. 불교의 윤화 사상을 통해 인간적 고뇌를 극복함. |
표현상의 특징
감탄형 어법 사용 | 9행의 '아아'와 같은 감탄형 어법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강조함 |
비유법 사용 | 자연의 섭리를 통해 누이의 이른 죽음을 나타내고 있음. 즉 가을 바람에 의해 잎이 떨어지는 것과 같이 인간의 죽음을 자연의 섭리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음. |
시어의 의미
이른 바람 | 예상보다 빠르게 닥쳐온 불행 |
떨어질 잎 | 누이의 죽음 |
한 가지 | 한 부모에게서 난 남매임을 비유 |
'죽음'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와 현실 대응 방식
- 누이의 죽음에 대해 절망하기보다는 종교적 차원으로 승화하여 내세적 만남이라는 불교 사상에 기대고 있음.
- 시어 '미타찰'에는 시적 화자의 현실 대응 방식이 단적으로 나타나 있음.
- 자신의 감정을 감성적으로 표출하지 않고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자세를 보임.
- 낙구에서 시적 화자는 혈육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불교적 믿음으로 극복, 승화하며 수용함.
낙구 첫머리의 감탄사 '아아'
-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징(10구체 향가의 낙구 첫머리는 감탄사로 시작)임
- 앞부분에서 심화된 고뇌와 슬픔이 종교적인 믿음을 통해서 극복되는 순간임.
- 작품 전체로 볼 때, 시상이 전환되는 효과가 있음.
향가의 표기 방식
- 향찰은 중국 글자인 한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적은 차자 표기의 일종임.
- 한자를 빌려 표기하는 방법에는 한자의 음을 빌려다 쓰는 음차 방식과 그 뜻을 빌려다 쓰는 훈차 방식이 있음.
- 향가 표기에서는 음차 방식과 훈차 방식을 적절히 혼용됨. (명사나 동사의 어간 등은 훈차, 조사나 어미 등은 음차)
728x90
반응형
'공부 > 고등학교 국어(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서사 문학 (0) | 2020.12.21 |
---|---|
동짓달 기나긴 밤을(황진이) (0) | 2020.12.20 |
이 몸이 죽어 가서(성삼문) (0) | 2020.12.19 |
향가와 시조 (0) | 2020.12.17 |
한국 문학과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 (2) |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