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발단: 담 넘어로 최 씨를 본 후 이생과 최 씨가 사랑의 글을 주고 받으며 마음을 확인하고 담을 넘어 만나며 인연을 맺게 됨.
전개: 둘의 관계를 눈치챈 이생의 아버지로 인해 이별을 맞게 되지만, 최 씨가 부모를 설득하고 최 씨의 부모가 적극적으로 나서 둘은 부부가 됨.
위기: 홍건적의 난으로 인해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고 이생은 겨우 목숨을 구해 돌아왔으나, 최씨는 정조를 지키려다 죽음을 맞이함.
절정: 이생 앞에 최 씨의 환신이 나타나고 이생은 영혼인 줄 알면서도 3년동안 행복한 시간을 보냄.
결말: 최 씨가 저승으로 돌아가야 함을 알린 후 저승으로 돌아가자 이생도 얼마 후 삶을 마감함.
2. 작품 구성
만남(발단)
- 이별(전개, 이생 아버지의 반대)
- 만남(전개, 최씨 부모의 설득)
- 이별(최씨의 죽음)
- 만남(최씨의 환신)
- 이별(최씨가 저승으로 돌아감)
2-2. 만남과 이별
만남 | 이생과 최씨가 사랑하는 사이가 됨 | 이생 집안의 반대를 극복하고 둘이 결혼을 함 | 이생과 최씨가 다시 만남 | ||||
↘ | ↗ | ↘ | ↗ | ↘ | |||
이별 | 아버지의 명으로 멀리 떠남 | 홍건적이 최씨를 죽임 | 최씨가 저승으로 돌아와 돌아감 |
3. 갈래
한문 소설, 전기 소설
4. 성격
전기적, 비극적, 환상적
5. 주제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애절한 사랑
6. 특징
- 비현실적이고 신비로운 내용을 다룸
- 만남과 이별을 반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짐
- 작품에 시를 삽입하여 등장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7. 인물
이생, 최씨
7-2. 인물의 성격
이생: 소극적(부모의 뜻에 따라 영남으로 떠남, 혼자 달아나 목숨을 지킴)
최씨: 적극적(부모님을 설득해서 사랑을 쟁취, 목숨을 바쳐 절개를 지킴)
8. 배경
시간적 배경: 고려 말 홍건적의 난
공간적 배경: 우리나라 송도(현재는 개성)
9. 시와 노래의 역할
정서적 기능: 인물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상황을 압축적으로 표현하여 분위기를 형성함
서사적 기능: 이전의 사건을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앞으로 전개될 사건의 특성을 알려줌.
산문에 운문을 삽입하여 사건 전개의 단조로움을 피함.
10. 작가가 하고자 하는 말
- 단종에 대한 충성을 지키겠다는 의지
-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수 없는 현실적 고뇌를 환상적, 초현실적 시공을 통해 예술적으로 승화
'공부 > 고등학교 국어(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 들고 혼자 안자, 윤선도 (0) | 2021.04.17 |
---|---|
백설이 잦아진 골에, 이색 (0) | 2021.04.17 |
엄마의 말뚝2 (박완서) (0) | 2021.04.16 |
납작납작 - 박수근 화법을 위하여(김혜순) (0) | 2021.04.14 |
별 헤는 밤(윤동주) (0) | 2021.04.11 |